목차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왜 중요할까요?
- 중위소득에 따른 주요 복지 혜택 총정리 (2025년 최신 정보)
-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300%부터 50%까지 혜택 상세 안내
- 나에게 맞는 복지 혜택, 어떻게 찾을까요?
- 복지 혜택 신청, 미리 준비하면 더 빠릅니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2025년 대한민국의 복지 정책은 우리 삶에 깊이 연결되어 있는데요.
특히 기준 중위소득은 정부가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 혜택의 수혜 대상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표에 있는 구간별 혜택을 정리를 해서 알려드립니다.
중위소득 확인하세요.
각자의 소득기준 확인하시고 정부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받으시는데 참고 하세요.
2025년 기준 중위소득 확인, 왜 중요할까요?
우리가 흔히 듣는 ‘중위소득‘이라는 말은 대한민국 모든 가구의 소득을 일렬로 세웠을 때, 정확히 가운데에 위치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 기준 중위소득은 정부가 기초생활보장제도,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수많은 복지 사업의 수혜 자격을 정하는 데 사용되는 아주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며, 2025년 1월 1일 목요일부터 새로운 기준이 적용되었어요. 따라서 본인의 가구 소득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에 따라 어떤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답니다.
중위소득에 따른 주요 복지 혜택 총정리 (2025년 최신 정보)
2025년에는 가구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 기준이 세분화되어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되었어요.
아래 표를 통해 여러분의 가구 상황에 맞는 복지 혜택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가구원 수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복지 혜택 |
중위소득 300% | 7,176,039 | 11,797,974 | 15,076,059 | 18,293,319 | 21,324,576 | 24,194,415 |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
중위소득 200% | 4,784,026 | 7,865,316 | 10,050,706 | 12,195,546 | 14,216,384 | 16,129,610 | 청년국민취업 |
중위소득 190% | 4,544,825 | 7,472,050 | 9,548,171 | 11,585,769 | 13,505,565 | 15,323,130 | |
중위소득 180% | 4,305,623 | 7,078,784 | 9,045,635 | 10,975,991 | 12,794,746 | 14,516,649 | 중장년 취성패, 재난적 의료비, 서울형 긴급복지, 경기형 긴급복지, 위기청소년 지원 |
중위소득 150% | 3,588,020 | 5,898,987 | 7,538,030 | 9,146,660 | 10,662,288 | 12,097,208 | |
중위소득 120% | 2,870,416 | 4,719,190 | 6,030,424 | 7,317,328 | 8,529,830 | 9,677,766 | |
중위소득 100% | 2,392,013 | 3,932,658 | 5,025,353 | 6,097,773 | 7,108,192 | 8,064,805 | |
중위소득 85% | 2,033,211 | 3,342,759 | 4,271,550 | 5,183,107 | 6,041,963 | 6,855,084 | |
중위소득 80% | 1,913,610 | 3,146,126 | 4,020,282 | 4,878,218 | 5,686,554 | 6,451,844 | 긴급복지지원 |
중위소득 75% | 1,794,010 | 2,949,494 | 3,769,015 | 4,573,330 | 5,331,144 | 6,048,604 | 청소년한부모 자립지원패키지 |
중위소득 72% | 1,722,249 | 2,831,514 | 3,618,254 | 4,390,397 | 5,117,898 | 5,806,660 | 가사·간병방문 |
중위소득 70% | 1,674,409 | 2,752,861 | 3,517,747 | 4,268,441 | 4,975,734 | 5,645,364 | |
중위소득 65% | 1,554,808 | 2,556,228 | 3,266,479 | 3,963,552 | 4,620,325 | 5,242,123 | 청소년한부모 급여 |
중위소득 60% | 1,435,208 | 2,359,595 | 3,015,212 | 3,658,664 | 4,264,915 | 4,838,883 | 한부모, 조손가족 급여, 취성패, 국민취업, 청년 월세 |
중위소득 50% | 1,196,007 | 1,966,329 | 2,512,677 | 3,048,887 | 3,554,096 | 4,032,403 | 기초생활, 차상위, 국민취업제도, 서울형 안심소득 |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300%부터 50%까지 혜택 상세 안내
- 중위소득 300% 이하 가구:
-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서울에 거주하는 가구 중, 조부모나 삼촌, 이모 등 친인척이 아이를 돌보는 경우 지원받을 수 있는 아이돌봄수당입니다.
특히 맞벌이 부부나 양육 부담이 큰 가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 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
- 중위소득 200% 이하 가구:
- 청년국민취업지원제도:
구직을 희망하는 청년들에게 취업 알선, 직업 훈련 등을 지원하며, 구직 촉진 수당까지 제공하는 제도인데요.
2025년 2월 10일 월요일부터는 지원 요건이 더욱 확대되어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 청년국민취업지원제도:
-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 중장년 취성패 (취업성공패키지):
중장년층의 재취업을 돕는 프로그램으로, 맞춤형 취업 상담부터 직업 훈련, 그리고 취업 후 사후 관리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합니다. - 재난적 의료비 지원:
과도한 의료비로 어려움을 겪는 가구를 위한 지원 제도로, 2025년 4월 1일 화요일부터는 지원 범위가 더욱 넓어졌답니다. - 서울형 긴급복지 및 경기형 긴급복지: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생계 유지가 곤란한 가구에게 신속하게 생계비, 의료비 등을 지원하는 제도인데요.
각 지자체별로 지원 내용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거주 지역의 복지 센터에 문의해 보는 것이 좋아요. - 위기청소년 지원: 학업 중단, 가출, 인터넷 중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에게 상담, 보호, 자립 등을 지원합니다.
- 중장년 취성패 (취업성공패키지):
중위소득 80% 이하 가구:
- 긴급복지지원:
실직, 질병, 화재 등 예기치 못한 위기 상황으로 생계가 어려워진 가구에 신속하게 생계비, 의료비 등을 지원하여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 중위소득 75% 이하 가구:
-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패키지:
청소년 한부모의 자립을 위한 주거, 학업, 취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합니다.
-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패키지:
- 중위소득 72% 이하 가구:
- 가사·간병 방문 지원:
거동이 불편하거나 만성 질환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분들에게 가사 및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 가사·간병 방문 지원:
- 중위소득 65% 이하 가구:
- 청소년 한부모 급여:
청소년 한부모 가구의 생활 안정을 위한 급여를 지원합니다.
- 청소년 한부모 급여:
- 중위소득 60% 이하 가구:
- 한부모, 조손가족 급여:
한부모 또는 조손가족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생계비, 양육비 등을 지원합니다. - 취성패 (취업성공패키지) 및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층뿐만 아니라 다른 연령대의 구직자들에게도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청년 월세 지원: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월세 일부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한부모, 조손가족 급여:
-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등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급여를 지원하는 우리나라의 가장 기본적인 사회보장제도입니다. - 차상위계층 지원:
기초생활수급자 다음으로 소득이 적은 계층을 위한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합니다. - 국민취업제도:
모든 구직자에게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로, 맞춤형 상담부터 훈련, 취업 알선까지 단계별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 서울형 안심소득: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새로운 소득 보장 제도로, 2025년 5월 15일 목요일부터 시범 사업이 확대되어 더 많은 서울 시민들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기초생활보장제도:

나에게 맞는 복지 혜택, 어떻게 찾을까요?
이렇게 많은 복지 혜택 중에서 나에게 맞는 것을 어떻게 찾아야 할지 막막하시죠?
정부는 국민들이 복지 혜택을 쉽게 찾고 신청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어요.
- 복지로(www.bokjiro.go.kr):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복지로 웹사이트는 모든 복지 혜택 정보를 한곳에 모아두었습니다.
‘나에게 맞는 복지 찾기’ 서비스를 통해 몇 가지 질문에 답하면 나에게 해당하는 혜택을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 - 읍면동 주민센터:
가장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면 복지 담당 공무원과의 상담을 통해 직접 복지 혜택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 안내부터 신청 절차까지 상세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 129 보건복지 상담센터:
국번 없이 129번으로 전화하면 복지 관련 모든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친절하게 상담해 줄 거예요.
복지 혜택 신청, 미리 준비하면 더 빠릅니다!
복지 혜택은 필요한 순간에 신속하게 받는 것이 중요하죠.
정부는 복지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고 있지만, 일부 서류는 미리 준비해두면 좋습니다.
기본적인 서류로는 신분증, 소득 및 재산 관련 서류(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소득금액증명원, 재산세 과세증명서 등), 그리고 필요에 따라 진단서나 가족관계증명서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각 복지 프로그램마다 요구하는 서류가 다를 수 있으니, 신청 전에 반드시 해당 기관이나 복지로 웹사이트에서 확인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2025년은 이전보다 더 많은 분들이 정부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해인데요.
오늘 알려드린 정보가 여러분의 삶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